데이터 링크 계층의 스위치
- 호스트와 라우터는 스위치의 존재를 모르므로 스위치는 그들에게 투명하다.
- 스위치는 스위치 테이블을 자가 학습하는 능력이 있어 자동적으로, 동적으로, 자치적으로 구축하고, 프레임 수신시 테이블에 적절한 인터페이스가 있으면 그곳으로 전달하고, 그렇지 않으면 여과한다.
- 관리자나 사용자의 개입이 없기 때문에 플러그 앤 플레이 장치이다.
장점
- 프레임을 버퍼링하기 때문에 충돌이 없다. 최대 총 처리율은 인터페이스 속도의 합이다.
- 보안이 향상되었고, 문제가 생기면 연결을 끊어버린다.
스위치와 라우터 비교
∎ 스위치
- 장점 : 플러그 앤 플레이, 2계층까지만 진행하기 때문에 높은 여과율과 전달률
- 단점 : 토폴로지가 스패닝 트리로 제한된다. 브로드 캐스트에 의한 테이블 트래픽 폭주에 대한 방안이 없다.
∎ 라우터
- 장점 : 계층구조이기 때문에 순환의 문제가 적어 다른 알고리즘 사용가능
- 단점 : 3계층까지 있어서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.
학교 같은 곳은 트래픽이 몰릴 일이 별로 없어서 총 처리율을 증가시키는 "스위치"가 적절하다.
'CS 지식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G, 5G 이동성 네트워크 (0) | 2024.08.09 |
---|---|
이동하며 사용하는 네트워크 (0) | 2024.08.09 |
웹사이트 접속 Networking 과정 (0) | 2024.08.09 |
MAC 주소, ARP (0) | 2024.08.09 |
NAT (Network Address Transport) (0) | 2024.08.09 |